- 1996.2. 광주 가톨릭 대학교 졸업
- 1999-2004. 로마 교황청립 살레시오 대학(Universita’ Pontificia Salesiana) 수학. 교육학 박사
경력
- 2005-2016.2.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교리교육 위원회 위원
- 2005-2016.8. 부산 가톨릭 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 2016.2-2019.3.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교리교육 위원회 총무
- 2016-현재. 부산 가톨릭 대학교 인문교양학부 교수 및 평생교육원장
연구실적
논문
- 교리교육 방법론에 관한 고찰(신앙과 삶12호, 2005)
- 토마스 그룸의 몫을 나누어 참여하는 실천을 활용한 토착화 교리교육 방법론의 가능성 모색(신앙과 삶13호, 2006)
- 구성주의와 교리교육(신앙과 삶15호, 2007)
- 가네의 교수-학습 이론을 활용한 교리수업(신앙과 삶16호, 2007)
- 간추린 교리교육의 역사(신앙과 삶17-18호, 2008)
- 복음화 사명 안에서 현대 교리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신앙과 삶19호, 2009)
- 최초의 선포와 교리교육(신앙과 삶20호, 2009)
- 그리스도교의 종교적 경험과 교리교육(신앙과 삶21호, 2010)
- 화란교리서의 구조와 특징(신앙과 삶23호, 2011)
- 교리교육에 관한 교도권의 협력과 개별교회 실무적 종사자들의 책임과 양성(신앙과 삶24호, 2011)
- 새로운 복음화와 최초의 선포(신앙과 삶26호, 2012)
- 교리교육 방법론 안에서 대상자들에 대한 이해와 목적
- 목표 설정에 대한 연구(신앙과 삶12호, 2005)
- 중세 근대 유럽의 교리서가 중국선교와 초창기 한국 교리서에 미친 영향(신앙과 삶35호, 2017)
- 교리교안 작성에 있어 올바른 학습목표 설정을 위한 제언(신학전망 162호 2008)
- 어른 교리교육의 중요성과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한 소고(신학전망 176호 2012)
번역
- 신앙의 해와 가톨릭 교회 교리서(신앙과 삶30호, 2014)
- 교리교육 친교와 공동체(신앙과 삶33호, 2016)
저서
- 미사전례(한국천주교 중앙협의회, 2015)
- 성사(한국천주교 중앙협의회, 2017)
- 영남대학교 문과대학 영어영문학과 학사 졸업
-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석사 수료
- Dept. of English and English Literature
- Queen Mary College, University of London 석사 졸업
-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영어영문학과 박사 졸업
논문
- 2016년 12월: 영화와 연극의 크로스 오버: <야연>(The Banquet)과 『햄릿』(Hamlet)
- 2016년 3월: <연극영화로 배우는 영어>: 문학과 인성을 접목한 융·복합 교양영어 수업 사례
- 2014년 12월: 지드의 <위폐범들>과 셰익스피어의 <햄릿>: 미장아빔을 통해서 본 현대적 특성
- 2014년 8월: 해롤드 핀터의 『생일파티』: 폭력과 문화질서
- 2014년 3월: 에크하르트 『파리 질문집 I 』에 나타난 하나의 해석: 신은 존재가 아니라 지성이다.
- 2013년 12월: 사라 케인의 『정화된(Cleansed)』에 나타난 사랑과 폭력, 희생양 메커니즘
- 2013년 6월: 사라 케인의 『폭파된(Blasted)』에 나타난 잔혹의 변주곡
저서 및 교재
- 2016년 9월: 『CUP 창의인성』 -(CUP인문/인성교양강좌 시리즈 2) 부산가톨릭대 출판사
- 2016년 8월: Reading English As Liberal Arts 서현사
- 2016년 3월: 『CUP 지혜』 -(CUP인문/인성교양강좌 시리즈 1) 부산가톨릭대 출판사
- 2014년 8월: Power of Reading English 서현사
- 2013년 8월: Reading English: Passion, Compassion, Aspiration 서현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국어국문학과 졸업
-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국어국문학과 졸업
- 배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경력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강사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원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전문직
- 고려대학교 강사
- 고려대학교 bk21한국사학교육연구단 연구교수
- 덕성여자대학교 교양학부 초빙교수
- 부산가톨릭대학교 트리니타스칼리지 조교수
- 최우수강의상 4회수상(고려대학교)
연구실적
논문
-『무당내력』류(類) 별성거리의 성격과 의의
- 무당내력류 唱婦거리의 성격과 특징
- 컬럼비아대학교 글쓰기센터의 문제해결방식과 국내대학 글쓰기센터의 방향에 대한 제언
- 경기도 무형문화재 보호 조례 제정의 필요성과 방향
- 대중매체에 나타난 무속의 문화콘텐츠 활용양상 연구-TV드라마 <해를 품은 달>을 대상으로
- 대중매체에 나타난 무속의 문화콘텐츠 활용양상 연구
-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대학교양 글쓰기 과목의 수업사례 연구-덕성여자대학교의 기초글쓰기 수업사례를 대상으로
- 『무당내력』류(類) 별성거리의 성격과 의의
-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대학교양 글쓰기 과목의 수업사례 연구-덕성여자대학교의 기초글쓰기 수업사례를 대상으로
- 함경도 망묵굿 ‘돈전풀이’ 연구
- 여성무속인의 삶과 무속-가족구성원으로서의 서울지역 여성무속인을 중심으로-
- 관북무가에서의 여성인물 형상화
- 서울진오기굿의 ‘삼성’ 연구
- 신화의 역할과 의미 -무속신화 <바리공주>를 대상으로-
- 『時用鄕樂譜』소재 <삼성대왕> 연구
- 서울진오기굿의 ‘신’ 연구 -‘중디’의 성격과 의미를 중심으로-
- 서울진오기굿 '도령돌기'의 성격과 의미
- 진오기굿의 제차와 구조
- 서울진오기굿 '도령돌기'의 성격과 의미
- 뜬대왕거리의 성격과 의미
- 서울지역 마을굿 전자문화지도의 구축과 활용방안
저서
- 이해와 소통 글쓰기
- 서울 진오기굿 연구
- 설화연구의 한 단면
- 서울의 무가와 무속의례
- 함경도의 무가와 무속의례
- 자서전과 인터뷰에 나타난 여성무속인의 삶
- 인문계열학생들을 위한 글쓰기교육방법
- 이공계열 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방법-기초편
- 입사장
- 한국무속연구의 한 단면
- 부산대학교 교육학 박사(교육심리 및 상담심리 전공)
- 부산대학교 교육학 석사
- 경성대학교 교육학 학사, 국어국문학 문학사
경력
[교육 및 주요경력]
- 한국진로상담연구소 연구원(2009~2010)
- 동의과학대학교 교양과 외래강사(2010~2011)
- 부산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전임연구원(2011~2014)
- 경성대학교 인재개발연구소 연구원(2012~2013)
- 부산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외래강사(2014)
- 부산정보문화센터 인터넷/스마트 미디어 중독 예방강사(2014)
-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외래강사(2015~2016)
- 부산가톨릭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초빙교수(2014~2017)
[학회]
- 한국교육심리학회, 안암교육학회, 한국열린교육학회, 한국문화연구학회, 한국청소년학회, 교육종합연구소, 한국음악치료사협회 정회원
[과제수행내역]
- 부산시 교육청 자기주도학습력 신장을 위한 교사,학부모, 학생 대상 연수 지원사업(2011)
- 입학사정관제 운영 지원사업 : 평가의 공정성을 위한 매뉴얼 개발(2012~2013)
- 부산가톨릭대학교 대입전형 사교육 영향 평가 공동연구(2015)
- 부산가톨릭대학교 인성교육위원회 인성교육 모델 개발 연구(2015)
- 한국대학교육협의회/한국교양기초교육원 교양교육 교강사 워크숍 지원사업 선정(2016)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대학생 핵심역량 활용 우수사례 선정(2016)
- 한국연구재단 CK-1 대학생 핵심역량 측정 도구 개발 연구(2016~2017)
- 부산가톨릭대학교 교육과정 개선방안 정책연구(2017)
[주요 자격증]
- 중등정교사 2급
- 평생교육사 2급
- 학습컨설턴트 1급
- 음악치료사 3급
- 인터넷중독상담전문가
- 수업컨설팅 전문가
- MBTI 성격검사 일반강사
- Holland 진로상담 개인/집단/특수상담가
연구실적
[논문]
- "교사용 칭찬성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검증". 수산해양교육연구(2012)/제1저자
- "학습플래너를 활용한 중등학교기반 시간관리 학습컨설팅의 적용 및 효과". 열린교육연구(2012)/공동
- "중고등학생의 학습플래너 사용도에 따른 시간관리 능력과 시간관 차이 및 학습플래너 활용 방안". 열린교육연구(2013)/공동
- "국내 대학 입학사정관제의 공정성 실태와 확보방안". 수산해양교육연구(2015)/
공동
- "학사경고경험 대학생의 학업적 특성과 집단학습컨설팅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2015)/제1저자
- "대학생용 학업지연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학연구(2015)/제1저자
- "전문대학생의 생애목표와 성취목표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2016)제1저자
- "대학 신입생, 그들의 어려움에 관한 이야기 : 대학생활적응 경험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2017)제1저자
[저서]
-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매뉴얼북(2016)
- CUP 대학생활설계(2017)
관심분야
[박사학위 연구분야]
- 대학생용 학업지연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최근 연구분야]
- 학습컨설팅 프로그램 개발 연구, 독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대학생 학교생활적응 연구, 핵심역량 측정 도구개발, 학사경고학생 특성 연구 등
[논문]
- 인터넷 소설의 작은 역사
- 최인훈의 『태풍』에 나타난 시대착오와 평행세계의 상상력
- 이병주의 『소설 알렉산드리아』에 나타나는 다층적 인유(Allusion) 양상 연구
- 최인훈 연작 소설의 아이러니(Irony) 연구(공동연구)
- 포스트 IMF 시대 경쟁 논리의 내면화 양상 연구
- 서사의 공간 도식화(diagramming)를 통해 본 이순원의 ??수색, 그 물빛 무늬?? 연작 연구
- 신소설에서 나타나는 교환의 수사학 연구
-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부재자의 흔적 연구 모티프(공동연구)
- 이청준 초기 소설에 나타나는 남성 동성사회성 연구
- 한국 SF 문학의 시공간 및 초공간 활용 양상 연구
[논문]
「에디트 슈타인의 인간학과 헤븐(HEAVEN) 프로젝트 : 인간향상(Human Enhancement)을 통한 죽음의 혁명은 가능한가?」
「에디트 슈타인의 감정이입의 여성론-타자로서 동반자(Gefahrtin) 개념을 통한 인격의 실현」
「에디트 슈타인과 감정이입Ⅰ: 에디트 슈타인의 감정이입의 인간학」
「에디트 슈타인과 감정이입Ⅱ: 에디트 슈타인의 감정이입의 치유학」
「연명의료결정법, 인간다운 죽음은 실현될 수 있는가?-호스피스 철학을 통한 가능성 고찰」
「외로움과 관계단절로부터 야기되는 자살은 고독사로 지정될 수 있는가?-고독사의 개념과 대상에 관한 새로운 정립을 중심으로」
「공감의 생명윤리학-연명의료결정법에서 관계단절 고독사와 전인적 돌봄을 위한 가능성 고찰」
「존엄한 죽음에 관한 철학적 성찰 : 연명의료결정법과 안락사, 존엄사를 중심으로」
「호스피스 철학에서 병원의 가정 호스피스화와 에디트 슈타인의 연관성 연구」
「호스피스 철학에서 에디트 슈타인 사상의 의미 연구-죽음과 죽어감 그리고 사랑과 비움의 영성을 중심으로」
「호스피스 철학의 정초로서 사랑과 공감의 의미 연구-에디트 슈타인을 중심으로」
「공감의 교육학적 의미 연구 : 학교폭력에서 인성교육을 위한 공감의 의미를 중심으로」
「아우슈비츠의 유산, 에디트 슈타인 : 우리는 그녀와 ‘더불어’ 무엇을 논할 수 있는가?」
「에디트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과 생명형이상학」
「에디트 슈타인의 인간학과 호스피스 철학과의 연관성 연구」
「에디트 슈타인과 중세 스콜라철학의 수용 ?왜 에디트 슈타인인가? : 후설과 더불어, 후설을 넘어서」
「에디트 슈타인의 인격론 ?중세 실재론적 형이상학과 현대 현상학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립스 감정이입론에 대한 에디트 슈타인의 논쟁」 외 다수.
[저서]
『사랑론 :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사랑의 의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0/공동
『에디트 슈타인과 중세 스콜라철학의 수용』으뜸사랑출판사 2014/단독
『인격론 :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인격의 의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공동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사학과 조교수
부경대학교 강사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위원
부산시 사하구 기록물 평가위원
오륜대순교자박물관 자문위원
울산광역시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위원
경상남도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부산교회사연구소 전임연구원
연구실적
논문
「1920년대 언양지역 가톨릭부인회 결성과 그 의미」
「1920년대 청년운동과 언양지역 가톨릭청년회 결성」
「식민지기 醫生 김태일의 생애와 先代의 동래이주」
「1802년 언양 향교의 儒案 작성과 새로운 구성원들」
「식민지기 천주교 교우촌과 그 지도자 연구-'언양지방천주공교협회'를 중심으로-」
「언양 일원 천주교 관련 기록물과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제언」
「한말 식민지기 기영회의 사회활동과 경제기반」
「조선후기 중인 역관의 동래 파견과 천령 현씨 현덕윤 가계의 분화, 그리고 중인 김범우 후손들의 밀양 이주」
「19세기 후반 관우 숭배의 확산과 쇠퇴」
「조선후기 양산과 동래 지역의 동래 정씨 족보 출간 작업과 그 방향」
「주변부에서 배후지로-기장의 역사와 문화, 무엇을 문제 삼고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조선후기 언양 향반 가문의 사회 지위 유지와 그 양상-삼동면 보은리 단양 우씨 가문의 사례연구」
「19세기 중반 동래지역 기영회 결성과 그 역사적 의미」
「조선후기 동래 석대동 하리의 영양 천씨 가계의 사회 지위와 그 이동-비향반에서 향반으로의 사회 이동과 변경지역사회의 역동성」
「사회사와 생활사의 조우」
「조선후기 동래 지역 武任집단의 조직과 운영」
「19세기 후반 關王 숭배의 확산과 關王廟 祭禮의 주도권을 둘러싼 동래 지역사회의 동향」
「개항기 지방사회의 천주교 순교자와 그 성격-거제도 윤봉문의 행적과 거제도의 천주교 신자」
「조선후기 경남지역의 초기 천주교 수용자들과 수용형태」
「조선후기 경주 용산서원의 경제기반과 지역민 지배-이조의 최씨가문과 용산서원 소장 고문서를 중심으로」
저서
『천주교 수용자 중인 김범우의 밀양 유배와 역관 현덕윤 가계의 밀양 이주 그리고 관련 고문서』
『조선후기 이후 근현대기 통영 충렬사와 이순신 장군 기념 의례 그리고 관련 기록물 I -통영의 기록 문화유산과 무형 문화유산의 재조명 II-』(공저)
『한말 식민지기 동래 지역 노년 연령집단 기영회와 이들의 문서』
『조선후기 이후 식민지기 기장군 미동의 향반 남평문씨 가문과 이들의 사회문화적 위상: 기장미동 문씨 가문 전승 문서 총서』(공저)
『조선후기 언양 보은리의 단양 우씨 가문과 이들의 고문서』
『조선후기 언양 하잠리의 영산 신씨 향반 가문과 이들의 고문서』
『조선후기 언양 어음리의 경주 김씨 가문과 이들의 고문서』(공저)
『조선후기 기장 백길의 우봉 김씨 향반 가문과 고문서』(공저)
『경주 남쪽의 대종가 경주 잠와 최진립 종가』
『도산서원과 지식의 탄생』(공저)
『부산여성사Ⅲ- 역사속의 부산여성』 (공저)
『부산여성사Ⅱ- 역사속의 부산여성』 (공저)
『조선후기 기장 웅천의 남평 문씨 가문과 이들의 고문서』(공저)
『조선후기 동래의 무청선생안과 무임 총람』(공저)
『조선후기 동래 석대동 하리의 영양 천씨 가문과 이들의 고문서』
『고문서로 읽는 영남의 미시세계』(공저)
『부산여성사I - 근현대 속의 부산여성과 여성상』(공저)
『여성, 천주교와 만나다』(공저)
『동아시아 근세사회의 비교-신분, 촌락, 토지소유관계』(공저)
『조선후기 언양의 창녕 성씨 가문과 천주교 수용자들, 그리고 이에 관한 고문서』(공저)
『조선후기 동래 지역사회의 엘리트와 천주교 수용자들, 그리고 이에 관한 고문서』(공저)
『중인 김범우 가문과 그들의 문서』